입학

  • 국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수학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영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역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소프트웨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특수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상담심리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육행정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진로진학상담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심리치료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유아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융합인재 및 영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 후 자격증취득
  • 평생교육 및 HRD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기타
  • 교육목표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양/교직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교과과정

HOME전공소개 소프트웨어교육교과과정

석사기본 공통과목
석사기본 공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EdC510 컴퓨터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Computer)
컴퓨터교육을 위한 교과과정의 구성과 전개방식을 이해하고, 중고등학교의 현실적인 교육환경과 실용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교안 작성법, 강의방법 및 실습지도방법등을 학습한다.
EdC512 컴퓨터 교과교재 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Issues in Computer Education)
본 과목의 목적은 학교급별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컴퓨터교과목의 교재 개발 및 지도방법 학습에 있다. 이를 위하여 목적론(why teach computer science), 교재론 (what to teach), 방법론 (how to teach) 그리고 평가론 (evaluation)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사례분석 및 응용을 포함한 세미나 방식의 수업을 진행한다. 또한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목적에 대한 기획과 컴퓨터교육방법의 최근 동향에 관한 수업설계를 학습한다.
EdC513 컴퓨터교육을 위한 논리 및 논술교육
(Essay Writing for Computer Education)
컴퓨터교과에 대한 논술교육을 통해 예비교사 또는 교사로서 논술지도능력을 배양하고, 더불어 창의성증진을 위한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독창성을 함양한다.
EdC532 소프트웨어공학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키며 생산성을 높이는데 그 목표를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과목이다. 본 강좌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의 생명주기 즉, 요구분석, 설계, 코딩, 테스트, 유지보수의 과정을 거쳐서 사용되는 기술적, 관리적 기법과 도구들을 소개한다.
EdC533 컴퓨터교육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for Computer Education)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교육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통계이론을 학습하고 통계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컴퓨터교육이론과 현장적용에 대한 통계처리 능력을 함양한다.
EdC534 파일처리론
(File Management System)
본 과목에서는 파일처리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 및 기술에 대해서 학습하고 현장적용이 가능하도록 실습 훈련을 한다.
EdC536 WBI/CBI
(Computer Based Instruction/ Web Based Instruction)
CBI의 바탕이 되는 tutorial, drill and practice, problem solving, simulation 기법들에 대해 소개하고, CBI의 구성, CBI의 개발법을 익힌다. 최근 WWW의 대두로 야기된 WBI의 특성, 구성요소, 설계모델에 대해 학습한다.
EdC537 컴퓨터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Computer Education)
국내외 초,중,고 컴퓨터교육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한다. 컴퓨터교육의 변천사를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분석하고 현행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 한, 컴퓨터교육에서의 교육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에 알맞은 교육평가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EdC539 정보화교육과정 개발론
(Curriculum Development for Information Education)
초중등학교, 대학, 여성, 성인, 노인, 기업 및 산업체 등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적절한 정보화교육과정의 설계 및 개발 방안을 학습한다
EdC540 컴퓨터와 인지이론
(Computer and Cognitive Perspectives)
컴퓨터 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인지이론의 다양한 관점 등을 분석하고 이를 컴퓨터교육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EdC541 WBI 실습
(Web-Based Instruction Lab.)
웹의 특성과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고 교육현장에서 웹을 이용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안의 작성은 물론 교과별 특성을 감안한 다양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실습을 통하여 직접 시범수업을 학습한다.
EdC542 이러닝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e-Learning)
e-Learning의 이론적 토대를 개관하고, 중고등학교에서의 실제 사례들을 평가해 봄으로써 e-learning 운영에 필요한 전문가적 지식과 기능을 함양한다.
EdC543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교육
(Ubiquitous Computing and Education)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고 교육적 활용 현황과 사례분석을 통해 교육에의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학습한다.
EdC545 컴퓨터 프로그래밍
(Computer Programming)
C언어의 구문 구조와 문법을 학습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습을 통하여 직접 구현하여 봄으로써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체득한다.
EdC546 이산구조
(Discrete Mathematics)
컴퓨터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기 위하여 Logic, Set, Relation, Function, Boolean, Algebra, Combinatorics, Graph, Automata 등과 같은 수학적 기초 이론들을 학습한 뒤에 이러한 이론들이 실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여러 가지 실례를 통하여 학습한다.
EdC547 정보처리 실습
(Information Processing Lab.)
각종 정보들을 수집, 분류, 저장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실무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대표적인 Presentation Tool, Spreadsheet, Database 응용 소프트웨어인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파워포인트, 엑셀, 엑세스의 사용법을 예제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EdC548 멀티미디어 실습
(Multimedia Lab.)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하여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설계에서부터 구현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현장착근형 학습을 한다.
EdC549 데이터구조
(Data Structures)
많은 자료와 정보들을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구조적 특성과 장단점을 살펴본 뒤에 각각에 알맞는 응용분야와 관련 알고리즘들을 학습한다.
EdC551 알고리즘
(Algorithm)
정렬, 탐색, 그래프, 매칭 등의 기본적인 컴퓨터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분할정복, 동적계획법, 퇴각검색법등의 알고리즘 디자인 기법과 효율성 분석 방법 등을 학습한다.
EdC552 시스템분석 및 설계
(System Analysis & Design)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시스템 분석가로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개념과 원칙들을 학습하고 관련 시스템 설계 도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EdC553 컴퓨터시스템
(Computer System)
컴퓨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컴퓨터 구조인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소프트웨어로 운영체제, 네트워크, 알고리즘, 데이터 구성으로 데이터 구조, 파일구조, 데이터 베이스 구조에 대해 학습한다.
EdC554 인터넷 활용과 정보시스템 관리
(Internet application and system management)
인터넷을 활용하고 웹서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구성과 활용, 홈페이지 만들기, 웹서버 구축 및 운영, 인터넷 보안, 정보통신망 설계 및 관리 등의 내용을 학습한다.
EdC555 시스템 프로그래밍
(System Programming)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어셈블러, 링커, 로더, 운영체제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에 관해 학습하고, 시스템 프로그램 설계에 필요한 목표설정, 분석, 제작, 시험평가능력을 배양한다.
EdC556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s)
컴퓨터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인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구조와 원리를 학습하고, 컴퓨터에서의 산술연산(arithmetic)은 물론 파이프라인(pipeline), 벡터처리(vector processing), 다중프로세서(Multiprocessors) 등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EdC557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지향 개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방법론, 객체지향 언어를 소개하고 객체지향 기법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해 보는 학습을 한다.
EdC558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의 기본적인 기능인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시스템 관리, 그리고 입출력장치 관리에 적용된 여러 가지 기법들을 학습하고, 병렬 프로그래밍과 분산 시스템의 개요 및 이에 관련된 운영체제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파악하는 학습을 한다.
EdC559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Mobile Application)
PDA 환경 중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는 Windows CE를 장착한 Pocket-PC에서 실제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한다. PDA 환경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며, 개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와 툴을 개발한다. PDA 스크린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GUI 프로그래밍과 COM 컴포넌트, 임베디드 DB, 멀티쓰레드 등에 관해 학습한다.
EdC560 교육용 게임 프로젝트
(Project for Educational Game Development)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교육용 게임을 실제로 제작해 보는 심화과정이다. 게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게임의 구성요소와 교육적 요소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전체를 구성하는 능력을 키운다.
EdC561 정보통신윤리
(Internet Safety)
지식정보화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터넷 윤리의식 함양을 위해 인터넷 윤리, 인터넷 문화, 인터넷 사회의 문제점과 대책, 네티켓, 인터넷 법률과 기술 등을 실무사례 중심으로 학습한다
EdC562 데이터베이스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고, 데이터 모델링, 질의어, 질의 최적화 등을 학습한 뒤, 분산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연역 데이터베이스 등에 관한 최근의 연구결과 들을 검토해보는 학습을 한다.
EdC563 논리회로
(Logic Circuit)
컴퓨터 시스템의 이해를 위한 기초 과목으로서 디지털 회로의 해석과 설계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디지털 논리게이트를 이용한 조합회로의 설계 및 해석, 플립 플롭을 이용한 순차회로의 해석 및 설계 등을 학습한다.
EdC564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s)
Network Organization, Synchronous/Asynchronous 전송이론, Telephone Network, Channel Capacity와 Modem응용, Queueing System, Packet Concepts, Flow Control, LAN등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제반사항들을 학습한다.
EdC565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초, 추론엔진, 지식표현구조, 학습방식,뉴럴 네트워크, 퍼지시스템, 자동화 응용등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다.
EdC566 프로그래밍언어론
(Programming Languages)
다양한 언어(expression 중심 언어, state 중심 언어, type 중심 언어, object/class 중심 언어 등)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언어의 interpreter를 직접 컴퓨터 상에서 구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다양한 언어의 여러 특징을 잘 활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능력을 기른다.
EdC567 컴퓨터와 게임
(Computer and Game)
컴퓨터교육에 있어서 게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교육용 게임 제작을 위한 기획을 할 수 있으며 1차시 분량의 교육용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
EdC568 웹디자인 실무
(Web Design)
교육용 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포토샵, 플래쉬, 프리미어 등을 활용하여 각종 이미지, 동영상을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다.
EdC569 웹 기반 교육시스템
(Web-Based Instruction Systems)
본 과목에서는 웹 기반 교육의 운영관리를 지원하는 웹 기반 교수학습 시스템(LMS와 LCMS 중심으로)의 설계 및 개발방법론을 학습한다.
EdC570 컴퓨터교육연습
(Practices in Computer Education)
컴퓨터 교육과 관련된 주제를 하나씩 정하여 각자 개인별로 논문 형태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실제 논문 작성 연습을 한다.
EdC580 논문Ⅰ
(ThesisⅠ)
석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연구 지도를 한다.
EdC590 논문Ⅱ
(ThesisⅡ)
석사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심화 연구 지도를 한다.

※ 과목은 교원자격 취득과 관련된 과목임.

심화과정
심화과정
학수번호 개설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EdC601 프로그래밍 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Programming)
C언어의 구문 구조와 문법을 학습하고 프로그램 설계 및 제작법을 검토한 후 이에 대한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교육 방법에 대한 실습 또는 발표 학습을 한다.
EdC602 자료구조 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Data Structures)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과 같은 자료구조의 여러 가지 구조적 특성과 장단점을 살펴보고 각각에 알맞는 응용분야와 관련 알고리즘들을 검토한 후 이에 대한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교육 방법에 대한 실습 또는 발표학습을 한다.
EdC603 알고리즘 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Algorithms)
정렬, 탐색, 그래프, 매칭 등의 기본적인 컴퓨터 알고리즘을 살펴보고, 분할정복, 동적계획법, 퇴각검색법등의 알고리즘 디자인 기법과 효율성 분석 방법을 검토한 후 이에 대한 교육 방법을 연구한다. 교육 방법에 대한 실습 또는 발표학습을 한다.
EdC604 정보과학영재 교육론
(Education Theory for Computer Talented Students)
국내외 컴퓨터/정보 분야의 영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영재교육을 위한 교수법, 교재개발 방법 등을 학습한다.
EdC605 고급 분산시스템
(Advanced Distributed Systems)
분산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구조, 분산 운영체제(프로세스,파일), 분산 조정등에 대하여 공부를 한 후, 분산 시스템이 이용되는 사례에 대하여 연구를 한다. 분산 시스템 사례연구에는 이동컴퓨팅,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 클러스터링 응용,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온라인 트랙잭션 시스템 등을 학습한다.
EdC606 고급 이동통신시스템
(Advance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이동통신망의 기본개념을 살펴보고 Codeless나 Cellular 등의 무선 이동망의종류, 무선액세스 프로토콜 표준을 공부한다. 또한 GSM 등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의 표준을 정리한 다음 무선이동망의 보안과 망관리 기능을 이해하고 무선데이터를 위한 무선이동망 모델링 방법과 성능분석문제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차세대 무선 통신인 UPT, IMT-2000, AIN개념 등을 학습한다.
EdC607 고급 실시간처리시스템
(Advanced Real-Time Processing Systems)
처리 요구를 주어진 시간내에 완료해야하는 실시간처리 시스템은 현재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많이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능력을 함양한다.
EdC608 고급 멀티미디어 시스템
(Advanced Multimedia System)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시스템들을 다룬다. 멀티미디어의 기술추세 및 처리기기, 비디오, 오디오의 특성 및 압축, 동기화를 위한 시간 명세 방식, 멀티미디어 정보처리를 위한 운영체제, 미들웨어의 지원, 멀티미디어 파일 및 저장 시스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구조와 저장방식 등을 학습한다.
EdC609 고급 정보보호론
(Advanced Information Securities)
정보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요구되는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큐리티 시스템의 구조, 서비스, 메카니즘, 관리 등의 개념과 기술요소를 공부하고 다양한 정보통신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큐리티 엔진 S/W의 설계기술을 연구한다. 시큐리티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 시큐리티 메카니즘, S/W의 통합 능력 등을 중점적으로 배양한다.
EdC611 고급 시뮬레이션
(Advanced Simulation)
시뮬레이션은 시스템의 상태나 상황에 대한 실제적인 실험이 어려울 때 컴퓨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작성하여 실험하는 시스템 성능평가 기법중 하나이다. 컴퓨터 시스템분석 및 모델링, 성능측정, 시뮬레이션 등 컴퓨터 시스템 성능평가에 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스템 모델링 방법, 모델 설계방법, 시뮬레이션 언어, 난수 발생기, 구현방법, 결과분석방법 및 실제 시행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EdC612 인터넷 프로그래밍
(Internet Programming)
Internet 환경에서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 각종도구, 개발 주변환경에 관하여 학습한다.
EdC613 고급 컴퓨터 비젼
(Advanced Computer Vision)
Low level vision과 Intermediate vision을 주로 다루게 되는데 Facet Model, Texture Analysis, Image Segmentation을 공부하고, 영상에서 어떤 특수한 모형을 찾아낼 수 있는 Hough Transform, 심도있는 Morphology 까지 다룬다. Noise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Robustness 개념에 대해 배우고, 실제 Robust Filter 등을 학습한다.
EdC614 고급 컴퓨터 그래픽스
(Advanced Computer Graphics)
Polygon의 표현과 Interfacing, 2-D또는3-D Transformation, Graphics Segments, Windowing/Clipping, Hardware에 따른 Interaction, Hidden Line Treatment, Colors/Shading 등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EdC615 컴퓨터교육 고급통계학
(Advanced Statistics for Computer Education)
컴퓨터교육 연구를 위한 고급 통계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컴퓨터교육이론과 현장적용에 대한 통계처리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중다변인 연구방식에 초점을 맞춰 중다회귀, MANOVA, 판별분석, 요인분석, 공변량분석 방법을 다루며 아울러 여러 통계분석 프로그램 학습을 병행한다
EdC616 컴퓨터교육 세미나
(Seminar for Computer Education)
최신 컴퓨터교육관련 문헌을 읽고 소개하는 세미나로서, 컴퓨터교육의 이론을 고찰하고 실제적인 적용방법을 도출함으로써 학문적 연구력과 현장 응용력을 높인다.

 

빠른 이동 메뉴

이전

다음

글자화면확대화면축소top
아주대학교
  • 우)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COPTRIGHT(C)201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ll Right Reserved.
  • edu@ajou.ac.kr로 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