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

  • 국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수학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영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역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소프트웨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특수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상담심리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육행정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진로진학상담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심리치료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유아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융합인재 및 영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 후 자격증취득
  • 평생교육 및 HRD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기타
  • 교육목표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양/교직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교과과정

HOME전공소개 상담심리교과과정

석사기본 공통과목
석사기본 공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Edp510

상담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in Counseling)

상담의 기본과목으로 대표적인 상담이론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고 최근 동향을 이해하는 가운데 각 이론에 대하여 이론가, 기본전제, 인간관, 심리적 건강의 조건과 부적응 행동에 대한 설명, 치료목표와 과정,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하고 각 이론의 상담발전에 기여한 점과 제한점이 무엇인지 비평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Edp511

학교상담 사례연구
(Case Studies in School Counseling)

국내외 학교상담 성공사례를 모델로 학습할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주변 여러 학교의 개인상담, 집단상담 및 상담실 운영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보다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발전모형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Edp512

학교상담 세미나

(School Couselling Seminar)

국내외 학교상담 성공사례를 모델로 학습할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주변 여러 학겨의 개인상담, 집단상담 및 상담실 운영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보다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발전모형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Edp 520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인간 행동의 기본 원리 및 학습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행동수정의 기본 이론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 이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도록 실제 교육 장면에서 행동수정을 위한 설계방법, 행동측정방법, 연구방법 등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전문상담선택)

Edp530

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정신병리 및 이상심리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익히고 학교장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아동, 청소년기의 중요장애에 대해 실제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원생들의 경험을 나누면서 감별평가능력을 키운다.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는 학생을 발견했을 때 이들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방법, 적절하게 의뢰하고 연계하는 기술을 기른다.(전문상담 선택)

Edp531 학교상담의 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um in School Counseling)
우리나라 학교상담정책 및 제도, 상담환경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학교상담활성화의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외 선진국의 학교상담제도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교내 구성원 각자가 처한 위치에서 학교상담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기획,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Edp533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in Art Therapy)
미술치료는 진단검사용으로, 상담도구로 학교현장에서 예술치료방법 중 가장 활용도가 높은 방법이다. 초, 중등학교 현장에서 활동도가 높은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익히고 중요한 기법에 대해 실습기회를 가짐으로서 이를 직접 실시, 해석,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초점을 둔다
Edp534 학습심리
(Psychology of Learning)
인간의 학습과정과 망각, 학습유지를 위한 조건 등이 무엇인지 행동주의, 인지학습이론 등을 중심으로 배워서 학생들의 학습행동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학습행동을 도와줄 수 있는 학습상담원리 및 방법, 학습전략개선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전문상담선택)
Edp660

아동·청소년상담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아동 및 청소년 상담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고,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상담이론의 실제적 적용을 학습한다. 아동 및 청소년상담의 면접 기술, 특히
Edp538

다문화교육 및 상담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unseling)

본 과목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가족 구성원 및 청소년의 특성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들을 학습한다. 또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제반 상담활동을 익힘으로써 그들의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에 조력한다.

Edp539 인간관계론
(Theories and Practices in Human Relations)
인간관계훈련프로그램을 기획,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으로 인간관계와 관련된 각종 이론과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인간관계개선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자기진단 방법과 훈련프로그램을 살펴본다. 그리고 인간관계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자기개발의 기회를 갖는다.
Edp540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심리검사의 심리 측정적 속성을 이해하고, 좋은 심리검사의 조건에 대해 학습하여 심리검사를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키워준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검사의 특징을 이해하고 심리검사의 선택, 채점, 해석, 활용방법을 익히 익힌다. 상담과정에서 심리검사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룬다
Edp543 학부모 교육과 상담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교사의 입장에서 알아야 할 학부모의 발달적, 가정주기적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학부모 상담의 목적, 방법, 내용 등에 대해 연구한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심리교육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Edp546 상담연구방법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상담자이 연구역량은 실제에 도움이 되고 실제는 연구를 거쳐 성과가 입증되는 연결고리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연구방법을 이해하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방법, 표집방법, 주제설정 및 가설설정방법 그리고 연구수행 및 연구보고서 작성방법 등 전 연구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이에 대한 모의실습을 한다. 무엇보다 연구역량을 갖춘 상담자로서 준비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과목이다
Edp548 모래놀이치료
(Sand Play Therapy)
모래상자에 다양한 상징물을 배치하는 가운데 다양한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이를 통해 치유를 경험하는 모래놀이 치료방법의 이론과 실제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모래놀이 체험을 통해 자기 치유의 과정을 이해하는 기회를 갖는다. 모래놀이치료의 이론적 배경인 Jung의 분석심리학에 대한 하급을 통해 모래놀이의 작품세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해석력을 키울 수 있게 하며, 무엇보다 모래놀이치료자로서의 기본소양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Edp550 성격심리
(Personality Psychology)
정신역동적 접근, 성향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및 인지적 접근으로 대별되는 각 성격이론들의 성격의 개념, 발달과정, 평가기법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인간이해의 기초자료로 삼으며 각 개인의 성격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또한 각 이론을 학습자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dp560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집단상담의 특징과 제한점,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 집단역동, 집단발전과정 등 집단상담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 기회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집단리더의 역할과 다양한 상황에서의 집단기법에 대해 학습을 할 뿐 아니라 일정기간 전문가들이 리드하는 집단으로 배치하여 단기적 집단체험의 기회를 가지며 집단상담 과정 중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한다
Edp570 상담교육연습
(Practicum in Counseling Psychology)
학교 등 각 상담현장에서 최근 주요 재정이 되는 상담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그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고찰하거나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연구한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각 연구주제에 대한 심층적 학습기회를 갖고 연구보고서 작성법을 익혀 현장연구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Edp580 논문Ⅰ
(Thesis Ⅰ)
학위논문 세미나 기초과정으로 논문 주제설정에 대한 문헌 개관과 함께 관심 연구주제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논문작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논문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문제, 가설설정, 연구방법(표집, 측정방법, 자료수집 및 분석)등에 대해 세미나를 갖는다
Edp590 논문 Ⅱ
(Thesis Ⅱ)
학위논문을 위한 연구 및 작성과정에 초점을 둔다. 주제를 정련화하고 연구문제 혹은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연구방법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하고 실제 연구를 수행하며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연구결과의 함의에 대해 연구하고 논문을 완성한다.
Edp610 특수아 상담
(Counseling for Exceptional Children)
학교현장에서 접하게 되는 발달장애, 정서장애, 학습장애 등 특수아 문제를 다룰 뿐 아니라 학교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아동의 제반 심리적 문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교사로서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특수아 상담자로서의 자질과 역할을 학습하고 특수아 부모상담 능력을 키우게 한다
Edp620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가족치료 생성의 역사적 배경 및 가족체계이론,Bowen의 다세대적 가족치료,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Satir의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 등의 주요 가족치료 모델의 기본철학, 치료과정 그리고 기법을 구체적으로 학습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가족치료이론의 실제도 살펴보고자 한다.
Edp630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학교현장에서 중요한 상담영역인 진로관련문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진로발달과 진로의사결정 등 진로와 관련된 이론 학습을 통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그리고 진로상담 전반에 대한 과정과 원리를 익혀 상담실습의 준비도를 높인다. 또한 진로 관련 프로그램 경험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 향상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Edp640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Practicum in Counseling & Case Study)
장기, 단기 상담과정의 특징과 그 과정에서의 해결과정를 이해하면서 상담에 대한 계획능력을 기른다. 또한 기초적인 상담기술을 학습할 기회를 갖고 실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기술의 적용에 대해 분석하면서 기법의 활용방법, 사례문 작성 및 관리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원생 각자가 실 사례를 정해서 상담 목표와 상담계획을 세우고 상담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해 본다.
Edp650

발달심리

(Developmental psychology)

출생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행동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기제, 그리고 각 발달행동 특징을 다룬다. 인간이 일생동안 성장과 발달 그리고 쇠퇴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측면을 고찰하고 인간의 발달적인 측면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잘 이해하고 그들의 성장과 발달을 도울수 있도록 한다.

Edp542

사이버상담

(Cybercounseling)

사이버상담의 발생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사이버상담의 개념과 과정, 기법에 대해 살펴본다. 사이버상담에서 게시판, 채팅, 모바일상담 등을 이용한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며, 사이버상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단회 및 단기 상담개입에 대하여 알아본다. 사이버상담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문제영역에 대해 실제 사이버상담사례를 분석하고, 상담하는 기회를 가지며 사이버상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Edp541

성상담

(Sexuality couseling)

성 상담자로서 자기이해 성에 대한 상담자 개인의 태도와 정서 그리고 가치를 점검하고, 기본적인 성의 개념과 특성, 탄생의 신비, 생식구조와 기능 등을 이해한다. 청소년에게 있어 성적 위험행동은 무엇이며, 성적

심화과정
심화과정
학수번호 개설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Edp601 학교상담 사례연구
(Case Studies in School Counseling)
국내외 학교상담 성공사례를 모델로 학습할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주변 여러 학교의 개인상담, 집단상담 및 상담실 운영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보다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발전모형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Edp602 집단상담실습
(Practicum in Group Counseling)
본 과목은 순수한 집단체험을 목적으로 한다. 수강생들은 소집단을 구성하여 서로 집단원, 집단리더가 되어보는 경험을 하고 각 집단 경험을 주고받는 피드백의 기회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이론에서 학습한 치료적 요인, 집단상담 전개과정의 실체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집단리더로서의 역량을 키운다.
Edp603 개인 상담실습 및 슈퍼비전
(Practicum in Individual Counseling and Supervision)
본 과목은 개인상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개인상담실습 기회를 갖고 슈퍼비전을 병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야기되는 상담문제를 중심으로 이론과 기술을 보강하는 기회를 가지며 슈퍼비젼에 관한 이론과 상담자의 발달과정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Edp604 예방상담학
(Preventive Counseling)
최근 관심이 고조된 웰빙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질 높은 삶이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상담자가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예방적 차원에서 알아본다. 지금까지 보다 살기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실천했던 프로젝트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는 기회를 갖는다.
Edp605 심리진단과 평가
(Psychological Diagnosis and Assessment)
본 과목은 단순히 심리검사 이론 및 실시방법에 초점을 두기 보다 이를 활용하거나 면접 기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을 내리고 심리적 평가를 하는 기술을 다룬다. 상담에서 이러한 진단과 평가기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학습하며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를 경험하는데 초점을 둔다
Edp606 상담프로그램 세미나
(Counseling Program Seminar)
학교, 지역사회, 직장 등 다양한 조직체를 배경으로 실시되고 있는 각종 상담프로그램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 보다 효율적인 상담프로그램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 보는 기회를 갖는다.
Edp607 발달심리학
(Development Psychology)
수정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경험하는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각 발달시기에 직면하는 변화, 발달과업, 발달위기에 대한 지식은 효율적인 상담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몇 가지 인간발달의 결정적인 이슈들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의미에 대해서도 심층적인 지식을 얻게 될 것이다.
Edp608 고령화 사회와 상담
(Counseling in Aging Society)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어떤 연령, 어떤 역할을 하든지 고령화 사회를 사는 지혜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본 과목은 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성인 및 노인상담 이론 및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각 개인이 노화과정 뿐 아니라 고령화 사회의 특징과 그에 대한 준비에 대해 학습하며,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Edp609 인터넷과 상담
(Internet and Counseling)
인터넷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보고 인터넷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인터넷 중독의 개념과 진단방법을 학습하고 인터넷 중독의 폐해와 인터넷 중독 상담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본다.
Edp612 적응심리
(Adjustment Psychology)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대인관계, 결혼, 가정생활, 직업 등 개인의 심리적 적응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방법과 보다 성장하고 발전하는 자기관리 및 자기개발, 그리고 자기리더십 등의 긍정적 심리적 전략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학습기회를 갖는다.
Edp650 행동수정
(Behavior Modification)
인간 행동의 기본 원리 및 학습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행동수정의 기본 이론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 이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도록 실제 교육 장면에서 행동수정을 위한 설계방법, 행동측정방법, 연구방법 등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전문상담선택)
Edp660 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정신병리 및 이상심리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익히고 학교장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아동, 청소년기의 중요장애에 대해 실제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원생들의 경험을 나누면서 감별평가능력을 키운다.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는 학생을 발견했을 때 이들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방법, 적절하게 의뢰하고 연계하는 기술을 기른다.(전문상담 선택)
Edp670 상담교재연구 및 지도법
(Instructional Theories of Counseling Psychology Subject)
상담교과 지도 시 사용할 수 있는 상담이론 및 기법, 연구 성과물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교재로 개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기회를 갖는다. 또한 각 교재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고안해서 실습해 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상담교재의 내용 및 활용에 대한 지식을 쌓는다.

 

빠른 이동 메뉴

이전

다음

글자화면확대화면축소top
아주대학교
  • 우)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COPTRIGHT(C)201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ll Right Reserved.
  • edu@ajou.ac.kr로 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