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교과목 내용 개요 |
---|---|---|
EdH510 |
역사교육론 (Historical Research and Education) |
역사학의 연구태도와 연구방법을 어떻게 이루어야하는가를 사료학과 사료비판을 통해 살펴본다. 아울러 이를 현장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 학습한다. |
EdH511 |
역사교육과정 (Curriculums of History Education) |
국내는 물론 외국의 역사교육과정 내용과 특징을 시기별로 지역별로 비교, 분석, 검토한다. 이를 통하여 역사교육과정의 장단점들을 뚜렷이 인식함은 물론 개선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스스로 모색하도록 한다. 각 단계별, 수준별 역사교육과정을 명확히 하여 상호 유기적 연결 방안도 찾아보도록 한다. |
EdH512 |
역사교재연구 및 지도법 (Teaching Method on History) |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역사교재 개발과 교수법에 대한 자료를 찾고 검토하여 효과적인 교재개발과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특히 교재개발과 교수법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므로 양자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역사교육에 반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학습한다. |
EdH513 |
역사논리와 논술교육 (The Education on Critical History and Writing) |
본 강의에서는 역사교사가 중고등학교 과정의 학생들에게 역사학적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가르치도록 돕는다. 자료의 수집, 비판방법, 자료를 배치하는 방법, 자료를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방법 등이 본 과목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다양한 문화콘텐츠와 사료를 활용, 실제로 논술을 작성하도록 훈련한다. |
EdH520 |
역사학개론 (Introduction to History) |
역사학습과 역사교육에 필수적인 기본지식과 역사학의 주요 쟁점, 최근 경향을 다룬다. 우선 역사학 지식의 본질과 성립과정을 이해하고, 역사학에서의 사실, 인과관계, 객관성, 가치판단 등의 문제를 논의하며 아울러 동서양의 역사인식과 역사서술의 변천과정을 파악한다. |
EdH521 |
한국사학사 (Histography of Korean History) |
한국 역사학에 대하여 그 사관과 연구방법, 서술 양식을 중심으로 각 시대별로 검토한다. 특히 근현대 이후의 한국사학사에 주목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살핌으로써 추후 새로운 한국사상과 방법론 정립에 관한 학습을 한다. |
EdH522 |
한국사상·문화사 (The Intellectualand Cultural History of Korea) |
한국 고대에서 현대까지 사상사와 문화사 분야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 검토한다. 사상사의 경우 고대의 무교, 삼국과 통일신라 및 고려의 불교와 유교 전반에 대하여도 역사학적 방법으로 접근한다. 문화의 경우 미술과 음악, 문학까지 아울러 그 시대적 배경과 연관 속에서 이해하고 또 사상사의 흐름과도 관련지어 이해하도록 한다. |
EdH523 |
한국전근대사 (Pre-Modern History of Korea) |
한국 고대와 중세의 역사에 대하여 그 성립, 발전, 해체와 이행의 과정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체계적인 이해를 갖게 하며 이것을 중등학교 등 각급 학교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하여 학습한다. |
EdH524 |
한국근현대사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
개항 이후 현재까지 한국의 역사를 다루는 분야이다. 대체로 개항에서 해방까지를 근대로 잡고 해방 이후를 현대로 하기로 한다. 이 두 시기에 대하여 정치, 경제, 문화, 사상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종합하여 뚜렷한 역사상을 인식하도록 한다. |
EdH531 |
동아시아근대사 (Pre-Modern History of Asia) |
수천년의 문화적 유산을 축적하고 있는 동양 고·중세사는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를 발굴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보고이다. 따라서 세계사 교과서에 수록된 동양 고·중세사를 보다 심도 있게 연구, 검토함으로써 세계사 현장 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학습을 한다. |
EdH532 |
동아시아 근현대사 (Modern Asian History) |
본 교과목은 한국·중국·일본 3국을 중심으로 근현대사를 살핀다. 각 나라의 역사를 개별적으로 따로 늘어놓는 방식이 아니라 동아시아 역사를 유기적인 관련을 지닌 하나의 지역세계 역사로 파악한다. |
EdH533 |
동서교류사 (History of East and West Interchange) |
본 교과목은 동양과 서양 사이의 교통과 무역 그리고 그에 따르는 문화교류의 역사를 살펴본다. 동서양의 구분문제부터 동서교류의 다양한 형태와 내용을 학습하여 오늘날 국제화에 부응하는 역사교육의 교육기반을 확대하기 위하여 학습한다. |
EdH534 |
서양전근대사 (Pre-Modern History of the West) |
이 강의는 서양의 고대와 중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통해 서양문명의 정신적 기반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서양문명의 두 원천인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에 대한 논의에 더하여, 서양의 정치, 경제, 종교, 문화적인 현실을 자세히 이해함으로써 서양 전근대사에 대한 교육 기반을 증대하기 위한 학습을 한다. |
EdH535 |
서양근현대사 (Modern Western History) |
서양의 근대 및 현대의 역사를 이해하고 주요 쟁점을 논의한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대항해시대와 과학혁명, 절대주의와 계몽사상, 시민혁명과 미국의 정치발전, 산업혁명과 제국주의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서양의 팽창과정에서 나타난 서양과 아시아, 아프리카 사이의 관계 등을 파악한다. |
EdH536 |
20세기 현대사 (20th Century History) |
20세기 역사는 오늘날 한국-동아시아-세계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20세기는 급속한 문명발달로 인간에게 다양한 풍요로움을 선사했으며, 동시에 수많은 전쟁과 혁명, 이념의 질곡 속에서 어느 시대보다도 비인간화된 시기이다. 본 교과목은 20세기 역사의 주요한 쟁점들을 역사교육의 입장에서 주제별로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며 유기적으로 학습한다. |
EdH540 |
역사교육 방법론 (Methodology on History Education) |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역사교육을 위한 방법론을 논의하고 실습한다. 역사교재 분석과 비판, 역사지식의 특징과 일반적인 역사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효율적인 지식전달 및 학생들과의 상호소통 방식에 대한 모색을 이론적인 접근과 실습을 통해 논의하고 정리한다. |
EdH541 |
한국교육사론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고대부터 중세, 근현대시기에 이르기까지 전개되는 한국사의 발전과정에서 교육사 분야만을 따로 분리하여 개관해본다. 이 과목에서는 오랜세월 동안 유교적 바탕의 교육구조 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역사사실의 내용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 변화의 추이와 의미를 밝히기 위한 내용을 다룬다. |
EdH542 |
동아시아고대사 (Asian Ancient History) |
동양 특히 동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동양 고대사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동양문명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도움을 준다. |
EdH543 |
한국중세사 (Korean Medieval History) |
9세기 말 나말여초 시기로부터 고려의 통일과 건국, 발전, 멸망 그리고 여말선초 시기에 이르기까지 한국 중세사에 관하여 심도있게 다루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이 시기의 특징이라든가 중세사가 가지는 의미에 관하여 고찰한다. |
EdH544 |
동아시아중세사 (Asian Medieval History) |
3세기에서 10세기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국가들이 겪은 분열과 통일의 전 과정을 종합적인 시각으로 분석,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 국가간의 상호 교류와 비교는 물론 서양의 봉건사회와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가를 이해하도록 한다. |
EdH545 |
서양중세사 (European Medieval History) |
이 강좌는 지중해 고전문명의 종말로부터 15,6세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태동에 이르는 약 1천년간의 시기를 범위로 한다. 특히 중세의 정신적 근간인 그리스도교의 문제, 중세 도시의 발전과 봉건제도의 해체에 의한 근세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
EdH551 |
한국근대사 (Korean Modern History) |
조선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각 시기별로 그 변화와 특징을 살핀다. 특히 새로이 등장하는 사상과 문화사조, 인물, 계층에 주목하여 그 실상과 본질을 분석하고, 그들이 사회변동과 관련지어 어떤 관계에 있었는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EdH552 |
동아시아근대사 (Asian Modern History) |
대체로 15세기부터 19세기 말 20세기 초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고대사회의 붕괴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전통적 질서가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변모하여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19세기 서구와의 접촉으로 동아시아 사회가 근대화하는 과정까지의 실상에 대하여 이해한다. |
EdH553 |
서양근대사 (European Modern History) |
14,5세기 르네상스운동을 시작으로 서구시민사회의 형성과 종교개혁, 시민혁명에 이르는 유럽의 정치, 사회, 경제의 발전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살핀다. 이를 통해 인문주의, 과학적 합리주의, 계몽주의,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등의 사상도 탐구하고 이해한다. |
EdH554 |
한국현대사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조선의 멸망과 제국주의의 침략, 일제 강점기, 해방과 한국전쟁, 분단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역사를 심층적으로 살핀다. 특히 민족의 문제와 국제관계, 저항운동 등을 중심으로 시대적인 성격과 원인과 특징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EdH555 |
동아시아현대사 (Asian Contemporary History) |
20세기 이후 최근까지 동아시아사회의 발전과 변화과정을 고찰한다. 서양 제국주의의 침략과 동양 각국의 민족운동의 전개, 국민국가 건설의 과정, 이를 성취하기 위해 제창된 이데올로기의 문제, 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대응 등을 이해함으로써 올바른 역사인식을 제고한다. |
EdH556 |
서양현대사 (European Contemporary History) |
제국주의의 등장과 발전, 그 상승작용으로 발발한 세계 1차대전 그리고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정권 수립과정의 이해와 함께 핵심이 되는 역사적 논점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유럽 여러 나라들의 현대 역사를 상호 유기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유럽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EdH562 | 경기지역의 역사와 문화 | 지역사회와 학교의 관계를 볼 때, 피교육자와 지역사회를 연결시키는 정체성의 확립문제는 중요한 과제이다. 역사교육전공에서는 그것을 지역사, 지역문화론의 입장에서 연구하여 현장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Hitory of Kyeanggi Province | ||
EdH563 |
동양문화사 교육론 (Methodology on Asian Cultural History Education) |
본 강의는 아시아 세계를 크게 서아시아, 인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섯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문화의 특징과 변화 양상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그러한 타문화에 대하여 우리가 어떤 관점에서 접근해야하는지를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
EdH564 |
서양문화사 교육론 (Methodology on Western Cultural History Education) |
서양문화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학교 교육에서의 서양문화 교육의 의미와 그 교육방법론을 계발하고 실습한다. 본 강의에서는 서양문화의 공통적인 특징과 더불어 유럽과 북미의 여러 국가들 간의 문화적 차이에도 주목하여 서양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논의한다. |
EdH565 |
아메리카사 (Hitory of America) |
본 강의는 미국사를 현대와 그 이전으로 나누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서 살펴본다. 특히 현대시계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EdH570 |
역사교육연습 (Practicum in Historical Education) |
역사교육과 관련된 여러 문제에 대하여 최근 연구 경향과 관련하여 심도 있는 세미나 학습을 한다. |
EdH580 |
논문 Ⅰ (Thesis Ⅰ) |
역사학 및 역사교육 관련 논문 작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심도 있는 강의와 토론을 진행하고 최근의 연구 경향을 검토하여 논문 작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학생들은 실제로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 지도를 한다. |
EdH590 |
논문 Ⅱ (Thesis Ⅱ) |
역사교육 및 논문 작성에 보다 중점을 두어 강의와 토론을 진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로 논문을 작성하는 심화 연구 지도를 한다. |
EdH601 |
역사교육과 문화콘텐츠 (History Education & Culture Content) |
문화를 매개로 한 역사이해 확대로 역사교육과 문화의 결합은 역사교육현장에서 필요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수천년의 문화적 유산을 축적하고 있는 역사의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를 찾아내고, 실제 역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또한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학습을 통해 현장 역사교육의 내실화를 다진다. |
EdH602 |
역사학과 고고학 (History and Archaeology) |
여기에서 다루게 될 시기는 대체로 고고학과 역사학이 겹치는 시기이다. 역사학의 문헌고증적 접근 방식과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결합하여 해당 시기의 역사상을 재구성해내는 훈련을 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의 발굴보고서와 삼국사기, 고려사, 기타 금석문 자료를 연관시키는 작업을 하게 될 것이다. |
EdH603 |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Imperialism and nationalism) |
근대세계사의 한 주류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 그리고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 추진과 피지배 국민의 이에 대한 저항 등에 관해 학습한다. |
EdH604 |
시민혁명사 (Bourgeois Revolution) |
서양 시민사회의 성립은 수많은 정치적 개혁과 시민혁명을 통하여 이룩되었다. 대표적 시민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영국혁명, 미국혁명, 프랑스 혁명 및 러시아 혁명들을 중심으로 그 원인과 결과를 규명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성립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을 한다. |
EdH605 |
한국사회경제사 원강 (Readings in Korean Sccio-Economic History) |
한국사회경제사 가운데 전근대의 부분은 역사적 배경으로서 간단히 검토하고 근현대 이후의 사회경제사를 주로 강의하기로 한다. 한국 근현대사 사회경제사의 경우, 영어로 된 논저 가운데 좋은 것이 많으므로 이들 가운데 좋은 것을 모아 새로이 교재를 편집하여 원서 강독 학습을 한다. |
EdH606 |
서양사강독 (Readings in European History) |
서양사는 그리스에서 출발하여, 봉건제도와 기독교의 통일주의가 지배한 중세를 거쳐,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에서 비롯된 자본주의 시민사회의 성립으로 나아갔다. 서양문화의 발전과정을 영어 원서로 읽어감으로써 영어독해 실력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깊은 서양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학습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