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

  • 국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수학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영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역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소프트웨어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특수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상담심리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육행정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진로진학상담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심리치료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유아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융합인재 및 영재교육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 후 자격증취득
  • 평생교육 및 HRD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졸업후진로
    • 기타
  • 교육목표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 교양/교직
    • 교육목표
    • 교과과정
    • 교과목안내
    • 교수진

교과과정

HOME전공소개 국어교육교과과정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공통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공통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구분
Edk501 국어교수법
(Studies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중등학교 국어교육에 있어서 교수와 학습의 양면을 아우르는 모형에 대한 이론을 알아본다.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모형을 도출하고 다시 그에 대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검토한다. 교과
교육
Edk502 국어교육과정
(Studies in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 구성의 방향과 체제, 목표와 그에 부합하는 내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교과
교육
Edk503 국어평가방법
(Studies in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국어 교육의 평가 방법과 국어교육 평가가 국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 한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어교육 평가 연구 방안을 모색한다. 교과
교육
Edk504 국어 논리 및 논술
(Studies in Logic and Logical Essay)
논술지도자로서의 지식과 자격을 갖추기 위해 묘사, 서사, 논증, 설명 등의 기술 양식을 습득하게 하고 글쓰기에 대한 폭넓은 실전 지식을 익히도록 한다. 교과
교육
Edk510 국어교육론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교육의 각 영역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중등교육의 현장 교육에 부합하는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교과
교육

기본
이수(1)
Edk520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중등학교 국어교재의 내용과 변천을 분석하여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법을 개발한다. 국어지도의 현장성과 효용성을 도모하는 방법 개발에 주력한다. 교과
교육
Edk531 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국어학에 관련한 포괄적이고도 체계적인 지식을 배양한다.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국어사, 방언학, 등 국어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다. 전선

기본
이수(2)
Edk532 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 현대국어 등 국어의 발달 과정에 대한 기초적이고 개괄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Edk533 국어문법론
(Theory of Korean Grammar)
국어의 문법에 관련된 여러 가지 기초 이론에 대해 개괄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형태론과 통사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바탕으로 삼는다.
Edk534 국문학사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흐름을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한국문학사에 대한 총체적인 안목을 확보한다. 전선

기본
이수(3)
Edk535 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문학과 국문학의 관계, 국문학과 세계문학의 관계, 국문학 갈래, 국문학의 범주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국문학에 대한 개괄적인 지식을 쌓는다.
Edk539 의사소통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Language Communication)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표현 활동 및 듣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하는 이해 활동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표현과 이해의 전략과 방법 및 그 기초가 되는 언어적 특성을 탐구한다. 전선

기본
이수(5)
Edk540 문학교육론 문학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평가 등 각 영역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중등교육의 현장 교육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전선

기본
이수(4)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Edk541 국어문법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Korean Grammar)
형태론과 통사론과 관련된 국어 지식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탐구한다. 단어의 구성과 문장의 구조 등에 대한 국어학적 지식을 다룸과 함께 이들의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교육과정, 교과서, 지도 방안 등과 함께 모색한다. 전선
Edk542 현대소설교육론
(Studies in Modem Novels Education)
현대 소설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의 내적 질서와 작가의 생애, 소설이론에 대해 탐구하고, 작품세계와 작가 그리고 소설이론의 상호관계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전선

기본
이수(4)
Edk543 현대시교육론
(Studies in Modem Korean Poets Education)
현대 시작품을 개괄하고 주요 작품을 선정하여 작가와 주제 의 고찰을 통하여 현대시 이론의 바탕을 마련하고 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논의 한다. 전선

기본
이수(4)
Edk544 국어규범론
(Studies in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표준어 및 정서법에 관한 다양한 층위의 국어 규범을 탐구하고 학습한다. 관련 규범 및 그 변천과 원리 등을 두루 고찰함으로써 국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국어 규범 지식과 활용능력을 기른다. 전선
Edk545 고전소설교육론
(Studies in Korean Classical novel Education)
고전소설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를 문학교육 및 국어교육의 관전에서 고찰한다. 소설작가의 현실인식과, 현실초극의 형상으로서의 소설 작품에 대한 이해를 병행한다. 전선

기본
이수(4)
Edk546 고전시가교육론
(Studies i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한국 고전시가의 형성, 발전과정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중요한 작품을 선별하여 그 작가와 문학적 특성을 탐구한다. 전선

기본
이수(4)
Edk551 국어음운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Korean Phonology)
국어 음운의 특성과 음운의 체계, 음운의 변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국어교육에서 제기되는 관련문제들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전선
Edk552 국어의미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Korean Semantics)
국어의 의미론적 문제들을 다룬다. 즉 단어의 의미유형, 의미변화, 단어장등 의미론적 문제와 수행문과 언표 내적행위, 전제와 함축 등 화행론적 문제, 그리고 의미의 심층적 분석과 진실의 표현 등 철학적 문제 등을 살펴본다. 전선
Edk554 현대문학사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 현대문학 시대구분 및 시대별 문학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당대의 시대상과 관련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전선
Edk555 한국전후소설교육론
(Studies in Korean Post-War Novels Education)
1950년대 이후의 한국현대소설의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연구를 통하여 문학사적 의의를 정리한다. 전쟁의 특수한 역사성과 그것의 소설적 반영에 대해 논의 해 본다. 전선
Edk556 문예비평교육론
(Studies in Korean Literary Criticism Education)
현대 한국문학비평의 유형과 방법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그 가운데 문학사적으로 의의 있는 작품을 고르는 기준, 작품에 대한 실제 비평의 다양한 방법, 비평의 사례 등을 학습한다. 실제로 문예작품에 대한 비평을 해본다. 전선
Edk558 구비문학교육론
(Studies in Korean Folk Literature Education)
한국구비문학의 관련사항 및 구비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을 살펴보고, 현대적 계승에 입각한 문학적 의의를 고찰한다. 전선
Edk559 고전문학작품론
(Studies in lassical Korean Literature)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및 분석을 통해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 지도한다. 전선
Edk562 현대시인론
(Studies in Modem Korean Poets)
현대의 대표적인 시인을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시대적 상황과 체험을 살펴 이들이 작품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전선
Edk570 국어교육연습
(Semin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현장에서 문제점을 찾아내고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문제해결의 방향을 모색한 다음 이를 정리함으로써 심도 있는 국어 교육의 발판을 마련한다. 전필
(비논문과정)
Edk580 논문Ⅰ
(Individual Studies)
논문의 주제선정, 개요작성, 연구사 검토 등을 지도한다. 전필
Edk590 논문Ⅱ
(Individual Studies)
학위논문의 주제가 정해진 후 지도교수가 학생을 개별적으로 지도한다. 전필

※ Edk 541-562 과목은 학기별로 선택적으로 B트랙으로 운영함. B트랙으로 운영되는 학기에는 해당 과목을 예비교사는 수강할 수 없음.

현직교사 대상 교과과정
현직교사 대상 교과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내용 개요 구분
Edk601 문학창작과 국어교육
(Literary Cre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중고등학생들의 시, 소설, 수필 등 문학 창작에 대한 의식과 태도에 대해 탐색하고, 창작실습이 국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 창작활동을 실습하는 현직 교사 중심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2 독서와 국어교육
(Read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교육현장에서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떤 방법으로 독서 지도를 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그 방법과 내용을 연구 검토하는 현직 교사 중심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3 매체 활용 실습
(Practicum on Utilizing Multimedia for Korean Education)
멀티미디어에 익숙해져 가는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국어과 수업에서도 인터넷이나 영상자료 등 다양한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그 활용 방법을 고찰하고 실습하는 현직 교사 중심의 워크숍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4 국어문항 개발 실습
(Practicum on Developing Test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현장의 다양한 평가 맥락에서 사용된 평가 문항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질 높은 평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현직교사 중심의 워크숍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5 국어교육 실행연구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Action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실행 연구 방법론에 입각하여 국어교육 현장의 연구 문제를 포착, 탐색하여 실행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6 국어교육 연구동향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Theoretical Issue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 및 쟁점을 중심으로 연구 논문과 자료를 읽고 정리하는,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7 교사를 위한 국어교육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독서 및 작문교육, 화법교육 등 국어교육 현장의 실행을 위해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 평가를 기획하고 실천하기 위한한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8 교사를 위한 국어문화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Korean Culture)
국어교육의 기획과 실천을 위해, 고전과 현대의 국어문화 자료를 깊이 있게 탐구하고 분석, 활용하는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09 교사를 위한 문학교육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문학교육의 기획과 실천, 이를 위한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석과 비평 등이 중심을 이루는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Edk610 교사를 위한 문법교육 세미나
(Seminar for Teachers on Korean Grammar Education)
문법교육의 기획과 실천, 이를 위한 문법 지식의 깊이 있는 탐색 등이 중심을 이루는, 현직교사 중심의 세미나 과목이다. 전선
(B트랙)

 

빠른 이동 메뉴

이전

다음

글자화면확대화면축소top
아주대학교
  • 우)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COPTRIGHT(C)201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ll Right Reserved.
  • edu@ajou.ac.kr로 메일 보내기